[책] 우리는 세 권의 책을 만나요 
민주주의 역사 공부 1 - 4.19 혁명 (#) 한국전쟁이 참상이 아직 생생한 1960년. 부정선거와 독재를 몰아내기 위해 전국이 시민들이 들고 일어났습니다.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을 하야시킨 역사적 순간이었습니다. 저자 한홍구는 4.19혁명을 통해 우리나라가 민주주의를 체화했다고 말합니다. 4월 혁명의 유산이 5.18, 6.10으로 어떻게 이어지는 살펴 봅니다.
오월의 사회과학 (#) 5.18광주항쟁을 사회과학적으로 분석해, 1999년 출간 이후 꾸준히 사랑받는 베스트 셀러입니다. 광주항쟁을 둘러싼 정치사회 담론부터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까지 고민할 수 있는 역작입니다. 저자는 증언록에서 찾은 방대한 분량의 증언을 토대로 1980년 5월 광주를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87년 6월 항쟁 (#) 6월 항쟁은 독재 시대를 종식하고, 대통령 직선제를 얻어낸 대한민국 시민 항쟁의 기념비적 혁명입니다. 저자 김원은 6월 항쟁을 공장 노동자, 대학생, 부산 배달 노동자에 초점을 맞춰 민중은 어떻게 6월 항쟁을 경험했는지 설명합니다. '항쟁, 정치 개혁'처럼 거대 담론의 시각에서 다루어지던 시민 항쟁을 새롭게 살펴 봅니다. |
모임 소개
4.19 / 5.18 / 6.10
이 숫자들을 보면 무엇이 떠오르세요?
맞습니다. 바로 거대한 권력에 맞서 시민이 세상의 변화를 만들어 냈던 바로 그 날들이죠.
시민들은 어떻게 생명이 위험에 처한 상황에서도 국가의 억압에 맞설 수 있었을까요?
활동가 독서모임 '성장가들' <시민 항쟁> 세션에서는 시민들의 용기와 투쟁의 역사를 살펴 봅니다.
(24년 5월 27일 / 6월 3일 / 6월 10일 / 6월 17일)
안녕하세요! '시민 항쟁' 세션의 호스트 박배민입니다 :)
듣는 것만로도 제 가슴을 뜨겁게 달구면서도 아리게 만드는 단어가 있어요.
바로 시민 항쟁이에요.
시민이 힘을 합쳐 거대 권력에 저항하는 모습을 보면 저도 모르게 어떤 힘이 가슴 속에서 솟아나요.
하지만 그 속에서 희생된 분들을 생각하면 마음이 아프고 분노도 차올라요.
독재를 몰아낸 4.19혁명,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 투쟁한 5.18광주항쟁,
대통령 직선제라는 성과를 얻어낸 6.10혁명까지!
평범한 사람과 평범한 사람이 모여 만들어 낸 사회 변화를 모두가 잊지 않고 함께 기억하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시민 항쟁> 세션을 통해 많은 활동가 분들이 시민의 힘을 기억해주셨으면 좋겠어요.
이번 세션은 주제특히 어려운 주제인만큼 책 자체는 가볍게 접근하기 위해 분량이 많지 않은 책들로 선정했어요.
부담스럽지 않게, 차근차근 알아가 보아요!
민주주의 역사 공부 1 - 4.19 혁명 (#)
한국전쟁이 참상이 아직 생생한 1960년. 부정선거와 독재를 몰아내기 위해 전국이 시민들이 들고 일어났습니다.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을 하야시킨 역사적 순간이었습니다.
저자 한홍구는 4.19혁명을 통해 우리나라가 민주주의를 체화했다고 말합니다.
4월 혁명의 유산이 5.18, 6.10으로 어떻게 이어지는 살펴 봅니다.
오월의 사회과학 (#)
5.18광주항쟁을 사회과학적으로 분석해, 1999년 출간 이후 꾸준히 사랑받는 베스트 셀러입니다.
광주항쟁을 둘러싼 정치사회 담론부터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까지 고민할 수 있는 역작입니다.
저자는 증언록에서 찾은 방대한 분량의 증언을 토대로 1980년 5월 광주를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87년 6월 항쟁 (#)
6월 항쟁은 독재 시대를 종식하고, 대통령 직선제를 얻어낸 대한민국 시민 항쟁의 기념비적 혁명입니다.
저자 김원은 6월 항쟁을 공장 노동자, 대학생, 부산 배달 노동자에 초점을 맞춰 민중은 어떻게 6월 항쟁을 경험했는지 설명합니다.
'항쟁, 정치 개혁'처럼 거대 담론의 시각에서 다루어지던 시민 항쟁을 새롭게 살펴 봅니다.
10초 만에 신청하기 (🔗)
학습비: 10만 원
기타
1회차
2회차
3회차
4회차
(자체 자료)
- 4.19 혁명』
19:30~21:30
19:30~21:30
19:30~21:30
19:30~21:30
모임 안내
*모바일에서는 표를 좌우로 움직여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