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글을 잘 쓰고 싶다고? 노력으론 택도 없다

김설
2023-07-18

<돈이 되는 글쓰기의 모든 것>의 저자가 말했다. “지금까지 해온 당신의 글쓰기 공부는 틀렸다. 글 잘 쓰기, 노력으론 택도 없다. 나름대로 열심히 쓰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인 훈련’이 필요하다”고 말이다. 이 말에 찔린다. 나를 후벼판다. ‘매일 꾸준히 쓰다 보면 이전보다 분명히 나아질 거’라며 꾸준히 써온 내 훈련법이 부정 당하는 느낌이자, 생각나는 대로 쓰고 보는 내 글쓰기 습관은 ‘독’이라는 말은 그 동안의 내 노력이 헛되다는 말로 다가왔다. 


퇴근 후에도 피곤한 몸과 맘을 다독여 조그마한 에너지를 쥐어짜며 조금이나마 글을 써보려 했던 노력이 틀렸다고? 쓸모없는 일이었다고? 그동안의 시간을 부정하고 무가치하다며 폄하하는 것 같다. 화가 날 법도 한데, 그렇지...라며 반박할 기미도 없이 인정하게 되더라. 얼마 전에 내 글쓰기 실력이 형편없다는 것을 자각했기 때문이다. 나름 애쓰고 있었지만 결과를 봐. 네 글은 형편없어. 틀린 걸 인정해야 해. 꾸준히 써도 나아질 수 없다고 말하니 포기하고 싶어진다. 낙담했다. 젠장, 여태까지 내가 헛수고를 했다니. 내가 실패했다니. 내가 똥멍청이였다니. 한참을 소파에 누워 못난 나를 탓했다.


그래서 어쩔려고? 이렇게 낙담한다고 무슨 소용이 있어? 이대로 포기할 거야? 아니, 내가 누구던가. 굵고 짧은 건 몰라도 가늘고 길게 버티는 존버 정신이 있지 않더냐. 그동안의 노력이 실패였다는 건 인정해. 하지만 남은 게 있어. 잘못된 습관일 지 모르지만  생각나는 대로 쓴 결과, 글쓰기를 시작함에 있어 두려움이 없어졌어. 이전보다 편안하게 글을 쓸 수 있게 된 거지. 아직 논리적이거나 완성도 높은 글을 쓰기에는 부족할지 몰라도, 꾸준히 생각을 기록한 덕분에 글감을 기록하는 습관이 남았어. 이런데도 내가 틀렸다고 할 수 있어? 돈이 되는 글쓰기, 경쟁력 있는 글쓰기는 아닐지라도 나에게 나름대로 도움이 되는 시간이었어. 그동안의 내 수고를 무 쓸모 하다 함부로 말하지 마! 

 

스스로 상처받지 않지 위해 자신감이 더 하락하지 않기 위해 다짐했지만, 내가 부족하단 사실을 인정하기는 힘들다. 받아들이고 싶지 않다. 강한 줄 알았는데 의기소침해진다. 내가 이렇게 나약했었나. 뭐, 어쩌겠나. 의식적인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으니 이제라도 시작하면 되지. 미국 경제잡지 <포춘>의 편집장 제프 콜빈도 “재능은 위대함과 거의 관련이 없다. 위대해지는 데는 의도적인 훈련만이 필요하다"라고 말했지 않았나. 재능이 없어도 위대해질 수 있다니, 오히려 나에겐 희망적이지 않은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