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연구자'를 모집합니다.
풀뿌리민주주의시민연구회는 시민이 모여 다양한 사회 문제를 탐구하는 독특한 플랫폼입니다. 연구회라는 장을 통해 시민 개인이 자신의 삶터에서 얻은 문제의식, 호기심을 통해 풀어낼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시민을 '시민연구자'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더 나은 사회를 꿈꾸며, 나의 삶과 공동체 속에서 실천을 하고, 나의 문제 의식을 더 깊게 탐구해보려는 호기심을 갖고 있다면 그 누구나 시민연구가입니다.
함께 배우고, 같이 성장하며, 나의 탐구심이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싶다면 풀뿌리민주주의연구회와 함께 '시민연구자'가 되어보세요! |
[요약] 한 눈에 확인하기
- 탐구 주제: 사회 문제 / 민주주의 제도 / 더 나은 공동체 中 참여자 선택
- 모집 대상
- 혼자서는 하지 않을 사회 문제 탐구를 해보고 싶은 분
- 정책 분석을 시도해보고 싶은 분
- 연구적, 분석적 글쓰기를 해보고 싶은 분
- 기간: 8월 ~ 10월 (하단 세부 일정 참고)
- 장소: 서울광역청년센터
- 모집 인원: 4인~6인
- 신청: 여기서!(#)
📝 [내용] 무엇을 하나요?
- 참여자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를 선택하고, 연구(탐구)를 통해 보고서를 발행합니다.
- 1인 1탐구를 진행합니다. 하지만 구성원을 방치하지 않습니다.
- 아홉 번의 모임을 통해 연구 기획 및 중간 점검 등을 진행합니다.
- 평소 글쓰기에 친숙하지 않아도 보고서를 완성할 수 있게 도와드립니다.
- 모임 사이에 수시로 상호 피드백을 진행하고, 선배연구자 멘토링을 통해 탐구를 지원합니다. (섭외 예정)
- 모임은 온오프라인 방식을 혼용합니다.
🌱 [결과물] 얻을 수 있는 것
[보고서] 개별 연구 ・ 분석 보고서 발행 (1인 1보고서)
[사람] 소규모 학습 그룹 및 동료 네트워크
[영상] 발표 영상 스케치 (희망자 한정)
[네트워크] 정보 공개 청구 및 인적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 방법
[성장] 연구 진행 및 보고서 작성 훈련을 통해 시민연구자적 능력 함양
🌿 [참고] 시즌 1 결과물
△ 시즌1 '김설' 님의 결과 발표 영상

△ 시즌1 결과 자료집 (클릭해서 다운 / ISSN: 3058-3063)
📚 연구 ・ 탐구 영역
아래 적힌 영역이 아니더라도 우리 연구회에 적절하다 생각되는 주제가 있다면 적극 제안해주세요.
- 민주주의 제도 관련 (정당, 국회, 지방자치제 동)
- 시민참여 제도 (청년네트워크, 주민자치회 등)
- 사회 이슈 관련
- 더 나은 공동체를 위한 제안 (사회약자, 소수자 인권, 돌봄 노동 등)
[운영] 두 명의 운영진

박배민: 일상 속에서 실천하는 개개인의 힘을 믿습니다. (more) 신동주: 자본주의 너머의 사회를 상상합니다. (more)
👥 누가 참여할 수 있나요?
- 사회 탐구에 대한 열정 있다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 아직 탐구되지 않은 영역을 시민의 입장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분
- 시민참여 정책 또는 제도에 관심이 있는 분
- 정보 공개 요청 및 논문 분석을 포함하여 자발적인 학습과 탐구에 관심 있는 분
- 따로 요구되는 학력, 경력, 연령은 없습니다.
📅 시즌2 일정
차수 | 날짜 | 내용 | 방식 |
1 | 8월 17일(토) 14:40 ~ 17:00 | 오리엔테이션 | 오프라인 |
2 | 8월 22일(목) 19:30 ~ 21:30 | 탐구 주제 찾아보기 (브레인스토밍) | 온라인 |
3 | 8월 31일(토) 14:40 ~ 17:00 | 연구 방법론 훑어보기 | 오프라인 |
4 | 9월 5일(목) 19:30 ~ 21:30 | 연구 계획 초안 작성 | 온라인 |
5 | 9월 26일(목) 19:30 ~ 21:30 | 연구 계획 완성 | 오프라인 |
6 | 10월 7일(월) ~ 12일(토) 참여자-운영진 개별 만남 | 탐구 과정 개별 지원 ① | 온, 오프 |
7 | 10월 14일(월) ~ 19일(토) 참여자-운영진 개별 만남 | 탐구 과정 개별 지원 ② | 온, 오프 |
8 | 10월 26일(토) 14:40 ~ 17:00 | 선배 연구자 멘토링 | 오프라인 |
9 | 11월 9일(토) 14:40 ~ 17:00 | 탐고 보고서 결과 공유 | 오프라인 |
・ 표가 잘린다면 좌우로 스크롤해보세요.
- 모집 마감: 8월 13일
- 활동 기간: 8월 중순부터 11월 초까지 진행됩니다.
💭 궁금해 하시는 것
질: 연구해보고 싶은 관심 있는 주제가 있습니다. 논문 작성같은 경험이 없는데 괜찮을까요?
답: 네. 괜찮습니다. 우리 연구회는 시민이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드리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연구 경험이나 성과보다는 시민의 연구, 탐구 의지가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질: 연구 지원금이 나오나요?
답: 아니요. 우리 연구회에서는 금전 지원 형태의 지원 사업을 진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시민연구자'를 모집합니다.
풀뿌리민주주의시민연구회는 시민이 모여 다양한 사회 문제를 탐구하는 독특한 플랫폼입니다.
연구회라는 장을 통해 시민 개인이 자신의 삶터에서 얻은 문제의식, 호기심을 통해 풀어낼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시민을 '시민연구자'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더 나은 사회를 꿈꾸며, 나의 삶과 공동체 속에서 실천을 하고,
나의 문제 의식을 더 깊게 탐구해보려는 호기심을 갖고 있다면 그 누구나 시민연구가입니다.
함께 배우고, 같이 성장하며, 나의 탐구심이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싶다면
풀뿌리민주주의연구회와 함께 '시민연구자'가 되어보세요!
📝 [내용] 무엇을 하나요?
- 참여자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를 선택하고, 연구(탐구)를 통해 보고서를 발행합니다.
- 1인 1탐구를 진행합니다. 하지만 구성원을 방치하지 않습니다.
- 아홉 번의 모임을 통해 연구 기획 및 중간 점검 등을 진행합니다.
- 평소 글쓰기에 친숙하지 않아도 보고서를 완성할 수 있게 도와드립니다.
- 모임 사이에 수시로 상호 피드백을 진행하고, 선배연구자 멘토링을 통해 탐구를 지원합니다. (섭외 예정)
- 모임은 온오프라인 방식을 혼용합니다.
🌱 [결과물] 얻을 수 있는 것
[보고서] 개별 연구 ・ 분석 보고서 발행 (1인 1보고서)
[사람] 소규모 학습 그룹 및 동료 네트워크
[영상] 발표 영상 스케치 (희망자 한정)
[네트워크] 정보 공개 청구 및 인적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 방법
[성장] 연구 진행 및 보고서 작성 훈련을 통해 시민연구자적 능력 함양
🌿 [참고] 시즌 1 결과물
△ 시즌1 '김설' 님의 결과 발표 영상
△ 시즌1 결과 자료집 (클릭해서 다운 / ISSN: 3058-3063)
📚 연구 ・ 탐구 영역
아래 적힌 영역이 아니더라도 우리 연구회에 적절하다 생각되는 주제가 있다면 적극 제안해주세요.
신동주: 자본주의 너머의 사회를 상상합니다. (more)
👥 누가 참여할 수 있나요?
📅 시즌2 일정
14:40 ~ 17:00
19:30 ~ 21:30
(브레인스토밍)
14:40 ~ 17:00
19:30 ~ 21:30
19:30 ~ 21:30
참여자-운영진 개별 만남
참여자-운영진 개별 만남
14:40 ~ 17:00
14:40 ~ 17:00
・ 표가 잘린다면 좌우로 스크롤해보세요.
- 모집 마감: 8월 13일
- 활동 기간: 8월 중순부터 11월 초까지 진행됩니다.
📢 참여 방법
💭 궁금해 하시는 것
질: 연구해보고 싶은 관심 있는 주제가 있습니다. 논문 작성같은 경험이 없는데 괜찮을까요?
답: 네. 괜찮습니다. 우리 연구회는 시민이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드리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연구 경험이나 성과보다는 시민의 연구, 탐구 의지가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질: 연구 지원금이 나오나요?
답: 아니요. 우리 연구회에서는 금전 지원 형태의 지원 사업을 진행하지 않고 있습니다.